Transaction 이란 무엇이며 언제 사용하는가?
Transaction 이란?
DB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고 한다.
DB에서 데이터를 다룰 때 장애가 일어난 경우 데이터를 복구하는 작업의 단위가 되기도 하며 DB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다룰 때에 이 작업을 서로 분리하는 단위가 되기도 한다.
Transaction의 유의할 점이 있는데 Transaction은 전체가 수행이 되거나 또는 전혀 수행이 되지 않아야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DB의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쉽게 말하면 SQL(SELECT, INSERT, DELETE, UPDATE 등)을 사용해서 DB에 접근한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작업의 단위는 단순히 SQL 한 문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게시판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예로 들어보면
게시판 사용자는 해당 게시글을 작성하고 저장/올리기 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게시판을 방문하게 되면 자신이 작성한 게시물이 업데이트된 게시판을 보게 된다.
당장에 이러한 상황을 DB에 작업으로 생각보면 사용자가 저장/올리기 버튼을 누를 시 INSERT 문을 사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게시물의 데이터들을 옮기게 되고 이후 게시판을 구성할 데이터들에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물(INSERT 된 데이터)이 다시 SELECT 되어 최신 정보로 게시물에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작업단위는 INSERT 문과 SELECT 문 두 가지 모두를 합친 것이다. 이러한 하나의 작업 단위를 Transaction이라고 하는 것이다.
개발자나 관리자가 이런 하나의 Transaction 설계를 잘한다면 데이터를 다루는 데에는 많은 이점이 생길 것이다.
Transaction의 특징
Transaction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1. 원자성
Transaction이 DB에 모두 반영되던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ransaction은 개발자/관리자가 설계한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처리 시 작업 단위 별로 이루어져야 사람이 다루는 데에 무리가 없다.
만약 Transaction단위대로 데이터가 처리되지 않는다면 설계한 사람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이해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오작동 했을시 원인을 찾기가 매우 힘들어질 것이다.
2. 일관성
Transaction의 작업처리 결과가 항상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Transaction이 진행되는 동안에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더라도 업데이트된 DB로 Transaction이 진행되는것이 아니라,
처음에 Transaction을 진행 하기 위해 참조한 DB로 진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사용자는 일관성 있는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원본 값으로 진행한다는 맥락 같다.
3. 독립성
두 가지 이상의 Transaction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을 경우에 어떤 하나의 Transaction라도, 다른 Transaction의 연산에 끼어들 수 없다는 점을 가리키며 하나의 특정 Transaction이 완료될때까지, 다른 Transaction이 특정 Transaction의 결과를 참조할 수 없다고 한다.
4. 지속성
Transaction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을 시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ransaction의 Commit, Rollback 연산
Commit 이란?
하나의 Transaction이 성공적으로 끝났고 DB가 일관성 있는 상태에 있을 때 하나의 Transaction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이다. 이 연산을 사용하면 수행했던 Transaction이 로그에 저장되며 후에 Rollback 연산을 수행했던 Transaction 단위로 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Rollback 이란?
하나의 Transaction 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Transaction의 원자성이 깨진경우 Transaction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Transaction을 부분적으로만 연산된 결과를 다시 취소시킨다. 후에 사용자가 Transaction 처리된 단위대로 Rollback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쯤 되면 Transaction을 왜 사용하는지 언제 사용하게 되는지 감이 올 것이다.
제일 근본적으로는 앞에 말했던 것처럼 Query의 실행들을 보장하는 것이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해서 데이터의 부정합이 발생하거나 하게 되면 결국에는 원상복귀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Transaction을 사용한다고 이해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TIL] SQL DB 설계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1.06.07 |
---|---|
6/3[TIL] Database Indexing이란 무엇이며 왜 하는가요? (0) | 2021.06.03 |
5/31[TIL] SQL Injection 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0) | 2021.05.31 |
5/30[TIL]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하나요? (0) | 2021.05.30 |
4/26[TIL]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5) (0) | 2021.04.26 |